Startup
  • Startup 정보 공유
    • 1인 창조기업의 창업 절차
    • 음식점 창업
      • 왕가탕후루 창업 비용
      • 김가네 창업 비용
      • BHC 창업 비용
      • 프랭크버거 창업 비용
      • 추오정 남원추어탕 창업 비용
      • 명륜진사갈비 창업 비용
      • 봉추찜닭 창업 비용
      • 신의주 찹산순대 창업 비용
      • 순대실록 창업 비용
      • 놀부 보쌈 창업 비용
      • 놀부 부대찌게 창업 비용
      • 놀부 흥부찜닭 창업 비용
      • 놀부 김치찜 창업 비용
      • 놀부 옛날통닭 창업 비용
      • 놀부 삼겹본능 창업 비용
      • 놀부 공수간 창업 비용
      • 놀부 돈가스본능 창업 비용
      • 놀부 호반식 창업 비용
      • 놀부 항아리갈비 창업 비용
      • [백종원] 더본창업센터-창업안내서
    • 커피전문점 창업
      • 메가 커피 창업 비용
        • [Youtube] 메가MGC커피 홍보 영상
      • 이디야 커피 창업 비용
        • [Youtube] 이디야 홍보 영상
        • [Youtube] 이디야 홍보 영상 - 2년 연속 3관왕 달성!
        • [Youtube] 이디야 홍보 영상 - 커피 한잔의 진심
      • 투썸플레이스 창업 비용
        • [Youtube] 투썸플레이스 홍보 영상
      • 빽다방 창업 비용
      • 파스쿠찌 카페 창업 비용
        • [Youtube] 파스쿠찌 카페 홍보 영상
      • 하삼동 커피 창업 비용
      • 할리스 카페 창업 비용
        • [Youtube] 할리스 카페 홍보 영상
      • 풀바셋 카페 입점 방식
        • [Youtube] 풀바셋 카페 홍보 영상
      • 스터디카페 창업 비용
    • 미용실 창업
    • 네일샵 창업
    • 메이크업샵 창업
    • 피부관리실 창업
    • 반찬가게 창업
    • 체육시설 창업
      • 골프존파크 창업 비용
  • AI
    • AI Support Tools
      • [PrePost SEO] Create AI SEO
      • [ChatGPT] Create AI Chat
      • [Microsoft] Create AI Chat Copilot
      • [Clova] Create AI Clova Dubbing
      • [ChatGPT] Create AI Sora Text to Movie
      • [Artflow] Create AI Avatar to Movie
      • [ADOBE] Create AI Avatar to Movie
      • [WRTN] Create AI Copywriting
      • [Gamma] Create AI PPT
      • [Graphy] Create AI Excel to Chart
      • [FormulaBot] Create AI Excel
      • [Perplexity] Create AI Chat
      • [Miri Canvas] Create AI Images Edit
      • [Removebg] Create AI Images Edit
      • [Magic Eraser] Create AI Images Edit
      • [Watermark Remover] Create AI Images Edit
      • [Glarity] Create AI Yutobe & Scripts
      • [ChatPDF] Create AI PDF to Text
      • [ZamZar] Create AI PDF to Docs
      • [Grammarly] Create AI Grammar Correction
      • [Upscale Media] Create AI Image Quality
      • [Callabo] Create AI Video Conference Records
      • [Monica] Create AI News Summay
      • [Doc Translator] Create AI Document Translator
      • [Mymind] Create AI Secretary
      • [ReMail] Create AI E-Mail
      • [AppStore] ChatGPT Sidebar helps
      • [AppStore] ChatGPT Prompt Genie
      • [AppStore] ChatGPT Prompt AIPRM
    • AI ChatGPT Prompt Study
  • Startup-INFO
    • 기관별 창업지원센터
      • K-Startup
      • 창업에듀
      • 창업진흥원
      • 서울특별시 자영업지원센터
      •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여성창업보육센터
      •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 스타트업 정보
      • [더브이씨] 스타트업 투자단계, 튜자 규모, 제품 등 검색 정보
      • [파인더] 한국 스타트업 및 투자기관에 대한 모든 정보
    • 창업경진대회
      • 정주영 창업경진대회
      • 대한민국 육군창업경진대회
      • 여성창업경진대회
    • Startup Info Site
      • [FA창업가이드] 사업자등록 준비 꿀팁
      • [FA창업가이드] 정보공개서와 가맹계약서, 꼭 확인해야 하는 걸까?
  • Startup-Support Center
    • Startup Suport Info
      • 중소벤처24
      • 상권정보시스템
      • 온라인 법인설립시스템
      • 소상공인 경영지원센터
      • 소상공인 희망리턴패키지
      • 소상공인 생활혁신형 창업지원
      • 원스톱기업애로종합지원
      •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 기술보호울타리
    • Startup Education Center
      • 2024년 대구여성창업융합패키지 공고
      • [특강]창업에 매력을 더하는 브랜딩 ‘네이밍&카피라이팅’
      • [특강]스타트업 고객&시장분석 마케팅 전략 참가자 모집
      • 2024년 2회차 지식재산권 무료 초청교육 수요조사
      • [하남스타트업캠퍼스 전문교육] 2024 온앤오프(On&off) 스타트업 실무교육 신청자 모집 공고
      • 2024년 IP창업Zone 25기 교육
      • 2024년 서울시 골목창업학교 상반기(6기) 교육생 모집
      • [여성가족부지원]온라인쇼핑몰창업마스터 과정 교육생 모집
      • 2024년 상반기 사회적기업 전환 아카데미 참가자 모집
      • [모집] 창업아카데미(1회차) '아이디어 발굴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교육생 모집
  • University StartUP INFO
    • 대학별 창업지원단
      • 서울대학교 창업지원단
      • 연세대학교 창업지원단
      • 고려대학교 창업종합포털
      • 한양대학교 창업지원단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지원단
      • 인천대학교 창업지원단
      • 인하대학교 창업지원단
      • 건국대학교 창업지원단
      • 전북대학교 창업지원단
      • 충남대학교 창업지원단
      • 세종대학교 창업지원단
      • 경북대학교 창업지원단
      • 순천대학교 창업지원단
      • 가천대학교 창업지원단
      • 국립한밭대학교 창업지원단
      • 서원대학교 창업지원단
      • 아주대학교 창업지원단
      • 충북대학교 창업지원단
      • 동서대학교 창업지원단
      • 수원대학교 창업지원단
      • 강원대학교 창업중심대학사업단
      • 국립군산대학교 창업지원단
      • 계명대학교 창업지원단
      • 이화여자대학교 창업지원단
      • 경일대학교 창업지원단
      • 전주대학교 창업지원단
      • 동아대학교 창업지원단
      • 청주대학교 창업지원단
      • 인하대학교 창업지원단
      • 경상국립대학교 창업지원단
      • 대구대학교 창업지원단
      • 한국공학대학교 창업지원단
      • 경기대학교 창업지원단
      • 한신대학교 창업지원단
      • 백석대학교 창업지원단
      • 한라대학교 창업지원단
      • 중부대학교 창업지원단
      • 전북과학대학교 창업지원단
  • StartUP Funds Info
    • Startup Funds Info
      • 소상공인정책자금
      • 경기신용보증센터
      • 중소기업진흥공단
      • 보조금 통합포털
  • Invest/Funding/Capital Info
    • Venture Capital
    • Crowd funding
  • Crowdfunding platform
    • Crowdfunding platform
      • 와디즈
      • 크라우디
      • 오픈트레이드
      • IBK투자증권
      • 텀블벅
      • 테라펀딩
  • Startup News
    • Startup News
      • [K-Startup] 인텔·오픈AI 등 글로벌 대기업 11개사와 함께 창업기업 육성
      • [K-Startup] 2024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국민평가단 모집 안내
  • Startup Statute
    • Startup Statute
      • 중소기업기술보호지침
      • 2023 기술유출방지시스템 구축사업 운영지침
      • 표준비밀유지계약서
      • 상생협력법 주요 개정 내용
  • Startup-Books-Preview
    • Technology 관련 Preview
      • 10년차 베테랑 원장이 알려주는 7일안에 네일샵 창업하기
      • 1인기업 퍼스널 브랜딩 평범한 이웃 지식창업 성공기
      • 1등학원창업경영전략
      • 1인 무점포 전자책 출판사 창업하기
    • 마케팅 관련 Preview
      • 1인 창업을 위한 디자인 마케팅 노하우
    • 음식 관련 창업 Preview
      • 100년 음식명가 창업특강
  • Startup Data
    • Startup White Paper
      • 창업진흥원,『2023 공공영역 문화다양성 우수사례 공모전』특별상 수상
      • 2022 학생 창업유망팀 300 경진대회 백서
      • 2020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결과 창업부문 보고서
      • 20191001_대학+창업+운영매뉴얼3.0+_최종★
      • 2018 대학 창업교육 백서_3부 대학 창업 교육 연구조사 모음집
      • 창업용어 50선(용어집)
      • (한국벤처투자)투자유치가 처음이세요(핸드북)
      • 기업가정신 훈련 가이드북(캠퍼스영웅전 사례 중심)
      • (KoEF) 『제7회 기업가정신교육 우수사례 경진대회 성과보고회』 자료집
    • Startup Document Data Files
      • 창업지원포털(K-Startup) 사용자 가이드 안내.pdf
      • ★ (안내책자) 2024년도 중앙부처 및 기초광역지자체 창업지원사업 안내.pdf
      • ★ 2023년 초기창업패키지 세부관리기준.hwp
      • ★ 2023년 초기창업패키지 세부관리기준.pdf
      • 2023년12월 개정_벤처투자 계약서(CN 포함)_KVCA.zip
      • 2023_07_통합본_금융회사 인허가 매뉴얼_금감원.zip
      • (붙임) 2023년도 재도전성공패키지 세부관리기준.hwp
      • (붙임) 2023년도 재도전성공패키지 세부관리기준.pdf
    • 기업 홍보 영상
      • [Youtube] Believe in People, Believe in Change. (삼성 핵심가치 / 삼성 비전
      • [Youtube] AIA생명 기업 홍보영상
      • [Youtube] IBK기업은행 브랜드 필름 ver. 30
      • [Youtube] 2023 셀트리온 브랜드 홍보영상(국문)
      • [Youtube] LG이노텍 회사소개영상
      • [Youtube] 현대오토에버 기업 홍보영상
      • [Youtube] 삼양식품 기업홍보영상
      • [Youtube] HMM - 기업 홍보 영상 2023 (KOR)
      • [Youtube] HL D&I Halla 기업 홍보영상
      • [Youtube] SILKROAD 기업 홍보영상
      • [Youtube] 카카오뱅크 브랜드소개 - 심볼편
      • [Youtube] blank Corp. BI 소개 영상
      • [Youtube] [한화그룹 광고] 최적의 에너지 솔루션편
      • [Youtube] [한화그룹 광고]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시민 포스코(국문, 2022)
      • [Youtube] 조광페인트 회사 소개 기업 홍보 영상 2024 (Korean/Chokwang paint)
      • [Youtube] 넥센타이어 기업 홍보 영상
      • [Youtube] 2023 프롬바이오 기업 홍보 영상 (FromBIO PR Film)
      • [Youtube] 캐논코리아 기업 홍보 영상
      • [Youtube] 티라로보틱스 기업홍보영상
      • [Youtube] KEC 기업 홍보 영상
      • [Youtube] 에이비엘바이오 기업홍보영상 (국문)
      • [Youtube] (주)본코스메틱 기업홍보영상_30초ver
      • [Youtube] 2023년도 한전KDN 기업홍보영상
      • [Youtube] DSEC 기업 홍보영상
      • [Youtube] 경동나비엔 기업홍보 영상(국문)
    • 스타트업 실태조사
      •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창업기업실태조사(2021년 기준) 보고서.pdf
      • [중소벤처기업부] 창업벤처 정책이슈 실태조사 최종보고서.pdf
      • [중소벤처기업부] 주요 선진국의 창업벤처 통계비교 분석(보고서).pdf
      • [중소벤처기업부] 주요 선진국의 창업벤처 통계비교 분석(부록).pdf
      • [중소벤처기업부] 중장년 지원정책 고도화를 위한 현황조사.pdf
    • 스타트업 성공/실패 사례
      • The single biggest reason why start-ups succeed | Bill Gross | TED
      • [Yutube] Startup Stories
    • 사업계획서에 대한 정보
      • [벤처기업확인기관] 벤처기업 사업계획서 작성예시
      • [중소벤처24] 혁신성장유형 사업계획서 가이드라인
      • [중소벤처기업부] R&D 사업계획서_작성법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사업계획서 작성 체크리스트
      • [대한상공회의소] 2차유통합리화자금지원신청작성
      • [고용노동부] 사업계획서_시간제일자리
      • [서대문구청] 사업계획서 작성 가이드
      • [충청북도] 사업계획서 작성 가이드
    • 개발자 사이트 정보
      • 아웃소싱 크몽
      • 개발자 취업 콘텐츠가 가득한 점핏
  • AI development
    • [TTA] 2024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안내서 - 일반 분야.pdf
    • [TTA] 2024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안내서 - 생성 AI 기반 서비스 분야.pdf
    • [TTA] 2024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안내서 - 스마트 치안 분야.pdf
    • [TTA] 2024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안내서 - 채용 분야.pdf
  • Best case studies for starting a business
    • (붙임) 2022년 재도전성공패키지 우수사례집.pdf
    • (붙임2) 웹 용)재도전 우수사례집_페이지.pdf
    • [붙임2] 2023년 메이커스페이스 우수사례집(2022년 기준).pdf
    • [붙임1] 2021년 메이커스 페이스 우수사례집(2020년 기준).pdf
  • Tips
    • 소상공인지식배움터(Feat. 교보문고 무료 대여 )
    • 노트북 AS 기간 확인 하기
    • AWS Startup 지원 프로그램
    • 해킹 IP 공유
    • [금융감독원/DAXA]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 사례 7선
  • Book Link(Coupang)
    • 창업관련 서적 정보
      • 비즈니스내깅 사업할 때 들어야 할 110가지 잔소리, 북트리
      • [두드림미디어]여성 CEO를 위한 창업 아이템 51, 두드림미디어, 김영호
      • 돈 없고 평범한 당신을 위한 창업전략서:가볍게 시작하는 창업이 성공한다, 휴앤스토리, 정효평
      • 린 스타트업 10주년 기념 전면 개정판, 한빛미디어
      • 제로 투 원(리커버 에디션):스탠퍼드대학교 스타트업 명강의, 한국경제신문, 피터 틸블레이크 매스터스
      • 스타트업 CEO로 산다는 것, 더퀘스트, 임준원
      • 성공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101가지 비즈니스 모델 이야기(2021 스페셜 에디션), 한스미디어
      • [유노북스]스타트업 아이템 발굴부터 투자 유치까지, 유노북스, 임성준
      • 스타트업 바이블:세계 최초로 공개되는 24단계 MIT 창업 프로그램, 비즈니스북스, 글: 빌 올렛
      • 이디어가 팔리는 순간:통하는 아이디어 팔리는 콘텐츠를 만드는 5단계 스토리텔링 공식, 현대지성, 탬슨 웹스터
      • 픽사 스토리텔링, 현대지성, 매튜 룬
      • 알면 힘이 되는 카페 창업의 공식:누구도 알려주지 않는 카페 창업의 기본 틀 만들기, 아이비라인
  • Startup/Venture News
    • '디자인 스타트업 산실' 서울디자인창업센터 입주기업 모집
    • 서울시-셀트리온, 바이오·의료 창업기업 성장 지원
    • 서초구, 문화예술 분야 사회적기업 청년 창업 지원
    • 중기부,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참여 예비창업자 모집 공고
    • 은평구, 청년 창업인의 집 입주자 모집
    • 정부, 한국인·국내기업이 외국서 설립 국외 창업기업도 지원
    • 강진 피클·영월 숙소…지역자원 손잡은 서울청년 창업 성과
    • 5조원 美스타트업 창업자 내 생각 남들에게 먼저 공유하라
    • 아모레퍼시픽, 한부모여성 창업대출 희망가게 창업주 모집
    • 관악구, 관악S밸리 창업공간 입주기업 모집
    • 금융위원장, 혁신 창업기업 대표들과 간담회…성장사례 청취
    • 아산나눔재단, 기후테크 창업가 육성 이화여대·KAIST와 협약
    • 창업부터 해외진출까지…디지털 혁신기업들에 2천415억원 지원
    • 기재부차관, 청년창업허브 찾아 대전·대구·전주 등 확대
    • 한전, 친환경·에너지 스타트업 30개사 기술고도화·창업 지원
    • 디자인 스타트업 산실 서울디자인창업센터 입주기업 모집
    • 소진공, 12개 지역대학과 지역 기반 예비창업자 양성
    • 서울시, 전원생활·농업창업 준비 맞춤형 교육과정
    • 로이터 페이팔 공동 창업자, 암호화폐 투자 재개...기관 참여 신호탄
    • 중기부, 경력단절여성 창업 지원…선배 여성기업과 연결
    • 농신보, 올해 청년농 창업·스마트팜 등에 8조4천억원 지원
    • 창업 앞둔 차량 고민에 “할부 대신 운용리스”
  • Hobby
    • 취미생활
      • [Youtube] Succulents
      • [Youtube] Succulents -1
      • [Youtube] Succulents -2
      • [Youtube] Succulents Channel
  • 쉼터
    • 탑툰-선생님의 노력[19금]
    • 탑툰-보스의 딸[19금]
    • 탑툰-요구르트 아줌마[19]
    • 탑툰-최면으로 그녀들을 함락시키는 법[19]
    • 탑툰-엄마야 누나야[19금]
    • 탑툰-그 남자의 공부법[19]
    • 탑툰-나의 일러레님[19금]
    • 탑툰-여동생이랑 비밀 레슨[19금]
    • 탑툰 취화점
    • 탑툰-치킨클럽[19금]
    • 탑툰-건물주 누나[19]
    • 탑툰-나의 일러레님[19금]
    • 탑툰-내 맘대로 장모님[19금]
    • 탑툰-모비딕[19]
    • 탑툰-뺏는 남자[19]
    • 무툰-도시정벌9부
    • 무툰-열혈강호
    • 무툰-괴
    • 무툰-학사신공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Startup 관련 정보 공유를 위한 사이트 입니다.
  • 1. Startup 창업지원센터 정보 공유
  • 2. Startup 지원 사이트정보 공유
  • 3. University Startup 창업지원단 정보 공유
  • 4. Startup Funds 정보 공유
  • 5. Venture Capital 정보 공유
  • 6. CrowdFunding Platfome 정보 공유
  • 7. Startup News 공유
  • 8. Startup 관련 서적 프리뷰
  • 9. Startup Document Data File 공유
  • 10. TIPs
  • Startup 이란?
  • Startup 문화
  • 스타트업 시리즈 A, B, C, D
  • 지분
  • 공동 창업자
  • 사내 스타트업
  • 스타트업의 가능성
  • 스타트업 준비 사항
  • 스타트업 조직관리의 중요성
  • 창업 아이템에 대한 집착
  • 지식재산권에 대해
  • 엑싯(EXIT)
  • 유니콘이란?
  • 기업가치
  • 유니콘 기업의 국가별 현황
  • 대한민국 유니콘 기업
  • 중소벤처기업부 발표 2022 국내 유니콘 기업
  • 주요 엑싯(EXIT) 기업

Was this helpful?

Startup 정보 공유

창업 정보 공유, #창업 #스타트업 #startup #venture #infomation #capital #funds #창업지원 #공유 #share #창업지원센터 #창업관련파일모음

Next1인 창조기업의 창업 절차

Last updated 1 year ago

Was this helpful?

창업/스타트업이 알아야 할 중요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장 수요와 경쟁 환경 파악, 고객의 피드백 수집, 팀 빌딩과 커뮤니케이션 강화, 자금 조달과 재무 관리 전략, 법률 및 규제 준수, 기술 발전과 혁신,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스타트업이 성공을 이룰 수 있습니다.

Startup 관련 정보 공유를 위한 사이트 입니다.

10. TIPs

Startup 이란?

스타트업 컴퍼니(영어: startup company) 또는 스타트업(영어: startup)은 설립한 지 오래되지 않은 신생 벤처기업을 뜻한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생겨난 용어로서,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설립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창업 기업이다.

자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 작은 그룹이나 프로젝트성 회사이다. 이러한 회사들은 대부분 신생이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찾아 나서는 데 주력한다. 스타트업이란 용어는 닷컴 버블 이후 함께 등장하는데, 당시에는 닷컴 회사들을 지칭하는 의미로 쓰였다.

Startup 문화

스타트업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자유로운 노동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이것은 스타트업 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1960년, 더글라스 맥그레고리(Douglas McGregor)가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노동 환경에서의 상벌 제도는 업무 효율을 올려주는데 필수가 아니며, 몇몇 사람들은 인센티브가 없을 때, 더욱 더 업무 효율이 올라간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요소는 경제적 유인책이 아니라 업무 효율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으며, 자유로운 근무환경이야말로 근로자들이 더욱 업무에 집중하게 할 수 있게 돕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오늘날 미국의 거대 기업을 만드는 핵심 요소이기도 했다. 이 중 구글은 스타트업 회사를 인수하며 성장한 스타트업회사이며, 모든 노동자들이 집에서 일하는 듯한 업무 환경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업이다. 이러한 업무 환경의 저변에는 편안한 환경에서 일하며, 업무 본질에 집중할 수 있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내포되어있다.

스타트업 시리즈 A, B, C, D

투자자가 스타트업에 투자하려면 해당 회사가 발행한 주식을 사야 한다. 보통은 회사가 발행한 우선주를 매입하는데 그러려면 언제 발행한 주식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투자 회차에 따라 A, B, C로 우선주를 구분했다. 그러다가 스타트업의 일반적인 투자 단계로 의미가 바뀌었다. 각 시리즈를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은 따로 없다. 투자 회차에 따라 A, B, C 등의 명칭을 붙이기 때문이다. 같은 시리즈A라도 회사마다 투자 유치 규모가 제각각인 것은 이 때문이다.

통상 시리즈A 투자는 시제품 개발부터 본격적인 시장 공략 직전까지의 기간(보통 18개월 전후)에 받는 투자를 지칭한다. 이 단계는 아직 실적이 없는 회사로서 존재 가치를 증명해 투자를 받아내는 일이 매우 어려운 일이라서 '마의 구간’으로 불린다. 통상 시리즈B 투자는 회사가 일정한 규모를 갖춘 뒤에 받는다. 이 단계는 대대적인 인력 확보, 적극적인 마케팅이 자금 확보의 주된 목적이다. 이후 단계는 회차에 따라 C, D 등으로 구분된다.

지분

각각 장단점이 있어 어느하나가 무조건적으로 좋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대부분 대표에게 한다. 여기서 여러 번 투자를 받은 뒤에도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최대한 대표에게 지분을 많이 몰아주는 것이다. 와이콤비네이터 설립자 폴 그레이엄은 지분을 n분의 1로 배분한 포트폴리오사들 중 성공한 사례를 들어 n분의 1 또한 좋은 선택지라고 주장하였으나 이는 차등의결권을 허용하고 있는 미국의 특수적 상황 덕분에 가능한 일이다. 미국과 달리 한국 상법은 차등의결권을 허용하지 않는다. 구글 창업자와 같이 6%의 지분으로 51%의 의결권을 행사하는 것은 한국에서 불가능하다. 최근 여당이 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합산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상법 개정을 통해 지분만큼의 의결권 행사까지 막으려는 한국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특히나 한국에서는 대표자의 지분이 60% 아래면 투자자들의 투자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는다. 시드 단계에서 70% 정도면 무난하지만 나머지 30%가 모두 회사 외부에 있다면 그 역시 투자 진행이 어렵다. 회사 내부에서 90%이상의 지분 확보가 필요하다.

지분은 엑싯 후 소득 배분 비율이 되기도 하지만 경영권으로서의 의미 또한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대표에게 지분이 몰빵된다면 지분이 큰 만큼 동기부여할 수 있어 좋은 성과로 이어지기도 한다. 지분이 없는 전문경영인이 경영하며 발생하는 문제가 대리인 문제다. 도덕적 해이로 인해 전문경영인이 회사의 이익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업 모델을 설계한 사람이 대표를 맡는 경우가 많다. 물론, 개발자도 좋은 문제 인식과 그에 대한 솔루션이 있다면 사업 모델을 설계할 수 있기에 직업과는 관련이 없다.

자금난을 겪는 거의 대부분의 스타트업이 구인을 위해 스톡옵션을 약속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미 폐업한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많은 스타트업의 사례를 보듯 스톡옵션은 스타트업이 정식 기업으로 성공할 때나 행사 가능한 것이지 사업성을 인정받지 못하면 그냥 종이조각이나 다름없다. 팬데믹 당시 넘처나는 유동성 덕분에 스타트업 시장에도 묻지마 투자가 빗발쳤는데, 최근에는 에브리타임이나 캠퍼스픽에서 사회를 잘 모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톡옵션을 보장한다며 구인하는 사례가 상당히 늘었다. 스타트업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라면 스톡옵션을 약속하는 곳보다는 최저임금이라도 구체적인 급료를 지급하는 스타트업에 지원하는 것이 실패를 줄일 수 있다.

공동 창업자

공동 창업자(Co-founder, '코-파운더'라고 직접 부르는 게 일반적이다)는 스타트업 회사를 만드는 데 함께 공헌한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미 존재하는 기업들 역시 공동 창업자가 있을 수 있으나, 공동 창업자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기업가와 해커, 엔젤 투자자, 웹 개발자, 웹 디자이너 등으로 구성된 기업의 성장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을 지칭한다.

공동 창업자라 칭하는 것에는 법적인 정의나 형식이 없으며, 이러한 명칭의 인정은 창업자와 다른 공동 창업자들의 인정으로 성립된다. 공동 창업자에 관한 단편적인 일화로 엘론 머스크의 이야기가 유명한데, 엘론 머스크는 테슬라 모터스에 공동 창업자 직함을 사용하다 고소당한 기록이 있다. 공동 창업자라는 직함을 법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이었는데, 그가 테슬라 모터스를 부도 위기를 면하게 한 것 외에는 회사에 기여한 바가 없다는 것이 그 내용이었다.[9]

사내 스타트업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중에서는 종종 사내 창업(Internal Startup)을 권장하는 곳도 있다. 새로운 사업부를 창설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미국의 데이톤 백화점(Dayton's)의 ‘Target Corporation’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threedegrees’가 대표적이다.

스타트업의 가능성

판에 밖힌 인터넷/스마트폰 서비스 정도 가지고 벤처 스타트업 육성을 할게 아니라 취업 준비를 시키는게 옳다. 스타트업을 위한 스타트업 정책도 오도하는 짓이다.

2015년 신문기사에 따르면, 중기청 창업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은 한국 내 기업은 3년 생존률이 67%이며 5년 생존률은 53%이다. 또 일반기업은 3년 생존률이 40%이며 5년 생존률은 30%이다.

창업지원사업 등을 포함한 전체 한국의 벤처기업 5년 생존율은 27.3%에 불과해, OECD에서 리투아니아가 가입하기 전까지 꼴지였다. 링크 멕시코나 터키의 5년 생존율보다 더 낮았다. 유럽연합 주요국들은 5년 생존율이 50% 이상이고 일본도 5년 생존률이 40%대 후반이다. 미국은 5년 생존율이 90%를 넘고, 중국과 인도의 벤처기업 5년 생존률은 80%대 수치이다. 동아시아에서 한국보다 생존률이 더 낮은 곳은 자료 자체가 없는 북한을 제외하고는 없다. 대만이나 홍콩조차도 40%를 훌쩍 넘는다.

때문에 2000년대 초반 닷컴버블이 꺼질 당시 항간에는 "벤처기업은 성공하면 벤츠 타고 다닐 수 있지만 실패하면 벤치에서 노숙하게 된다"는 우스갯소리가 유행한 적도 있었다. 물론 이는 지금도 해당된다. 스타트업경영연구소등의 민간 지원 기관은 물론, 정부기관에서도 산업의 꽃인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미 여러차례 성공적으로 사업을 일궈내 다른 대형 업체에 팔아먹은 경우에도 다시 스타트업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패 확률이 높기 때문에 계속해서 여러 번 말아먹는 일이 부지기수다. 일 년에도 두어 개의 사업 아이템으로 계속해서 개업했다 말아먹었다 반복하는 걸로 뉴스를 장식하는 경우도 있다.

요즘 미국에서는 유명 창업가들끼리 모여서 이슈몰이를 하면서 스타트업을 인플루언서 마케팅 하듯이 시작하는 것도 흔하다. 국내에서는 스타트업 콘텐츠 전문 채널 EO가 최근 이러한 시도를 하고 있다.

스타트업 준비 사항

창업교육, 실전경험, 기술, 결과물 도출 능력 없이 '열정, 의지, 노력'만 가지고 창업하다가 생기는 문제점이 다수이다. 창업자금을 받는다 하더라도 언급한 능력이 있어야 한다.

  1. 기존 제품/서비스와 차별성이 있고 시장성이 있는지 사전 검증

  2. 시제품을 시간안에 뽑아 투자자에게 보여주고 투자를 받는 능력

  3. 어필할 수 있는 고객층을 파악하고 마케팅/영업하는 능력

  4. 모방 대체품이나 잠재적 경쟁자들과의 경쟁력을 파악

  5. 특허, 디자인, 소프트웨어 저작권 등을 자유자재로 이용 또는 회피하는 능력

위 사항들은 사업을 시작하기 전부터 미리 준비해야 할 항목이다. 시제품을 제작하고 검증하며 투자자를 끌어들이고 마케팅을 전개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스타트업 조직관리의 중요성

초기 창업자는 단독 창업이라면 기술과 함께 경영관리를 겸해야 한다. 2~3명이서 공동 창업할 경우에도 추후 사무보조 직군에 속하는 경영관리는 서브로 채용하면 된다. 창업초기인 애플 경우 엔지니어인 워즈니악과 보조 역할자인 스티브잡스가 있었다. 테크기업 구글은 세르게이 브린, 래리 페이지가 엔지니어였고 경영쪽 업무를 에릭 슈미트에게 맞긴 것이다. 빌 게이츠와 폴 앨런이 모두 엔지니어 였으나 경영분야를 공부한것이다.

핵심인력이 기여한 만큼의 보상을 받지 못한다며 기업을 갈라치려고 나올수 있고 제대로된 대우를 못 받는다는 생각이 든다면 실력 있는 사람이 퇴사할 것이다. 권위적, 강압적, 주제파악을 못하는 경영자들이 있다면 구성원들은 이직할 것이다.

임직원 수가 적은 초기 단계의 벤처에서 핵심인력이 단 한명이라도 퇴사하면 회사가 망할 수 있다. 가령, 기술 기반 창업에서 CTO가 자주 교체된다면 투자자들은 절대로 벤처를 신뢰하지 않는다.

조직관리를 어떻게 하는지의 실무 문제에 대해서는 분류:조직관리를 참조 바람.

벤처기업 관련 서적과 통계들을 보면 벤처기업의 창업은 동료가 많을 수록 유리하다고 적시하고 있다. 경영, 영업, 법무 관련한것은 사무보조 직군에 속한다.

창업 아이템에 대한 집착

스마트폰 앱, 인터넷 서비스 창업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안타깝지만 이건 한국에선 이미 포화상태인 레드 오션이다.

스마트폰 앱은 제작하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잠재적인 경쟁자가 된다. 그 이유는 하도 이곳저곳에서 앱을 양산해 깔라고 소비자들에게 외쳐대는 세상이라 결국 선별해 일정 숫자만 깔아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 비슷한 종류의 앱이 70~100종쯤 된다면 업계 1위보다 나은 점이 없다면 사람들은 굳이 깔지 않는다. 즉, 업계 1위 앱 조차도 차지할 수 없는 새로운 수요를 찾아야 한다.

소비자들은 앱 설치하려고 하다가 한두번만 오류를 일으키거나 개인정보 이용등을 강제하는 앱들은 가차없이 바로 지워버린다.[9] 그래서 오류가 거의 없는 수준의 앱을 구현할 특급 개발자가 필요하다. 아이디어를 내놓는 것보다 아이디어를 구현할 만한 실력있는 엔지니어의 존재가 훨씬 중요하다.

그런데 특급 개발자를 정상 비용을 주고 고용하려면 엄청나게 비싸다. 창업 지망생들을 살펴보면 경영학과 출신 대표가 컴공과 홈페이지 등에 호소문을 올리면서 "지금 당장은 많은 돈이 없지만 성공시키면 대가가 따른다..." 이런 경우가 많은데 자진해서 스타트업으로 오게 만들 정도의 호소력을 갖추어야 성공할 것이다. 토황소격문 친구, 친척, 결혼, 동아리, 학교 동문 등을 통해 연결되어 동업하는 경우도 있다.

창업자들 상당수가 저런 것만 주야장천 들고 오니 투자자들 설득하기도 엄청 빡세고, 청년창업 프로젝트 등에서 앱이나 쇼핑몰 관련 창업은 차고 넘쳐서 심사위원들이 머리를 잡고 흔드는 실정이다.

IT 창업이라도 기존의 제조된 물건과 IoT 형식으로 융합 가능성이 있는 아이디어와 AI 기술을 접목시킨 아이디어가 가능성이 남은 영역인데 창업자들 중에 이걸 진지하게 고민해 본 팀은 열에 한둘만 나와도 다행이다. 그것도 해당 이슈 때문에 박살나고 있는 것이 함정 실제로 IoT 즉 사물인터넷은 보안이 뚫려 악용될 경우 단순히 자료 잃고 컴퓨터 망가지는 수준 이상으로 실생활 문제를 매우 크게 일으켜 생명에 위협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소규모 창업자가 쉽게 달려들기 어려운 부분이 분명 있다. 그나마 AI는 IoT보다는 접근이 용이하지만, AI 알고리즘을 제대로 활용,개발하는 실력을 가진 개발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공급 부족 현상을 겪고 있어 구하기가 힘들다. 다만 문제는 경영진에서 이런 데이터과학적인 지식을 갖췄느냐가 문제인데, AI 기술을 접목한 사업을 하려면 본인이 직접 공부해서 알고리즘을 다루고 개발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는 동시에 조직을 이끌고 사업을 기획할 수 있는 경영학적 능력도 갖춘 데이터 기획자가 된 후 사업을 하는 수밖에 없다.

차라리 흔한 물건이거나 자기 전문분야 제품들 중에 아이디어를 내서 편리하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찾거나, 원격으로 연결해서 특수 목적이나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아보는 게 더 현실성이 있다. 가지고 다니면서 피부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기기 예시로 든 형태의 IoT는 기기제조와 결합되어 있고 사용자에게 위험성도 없으며, 장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구축하기, 그 지역의 소비자의 취향을 파악하여 신제품개발이나 마케팅 등에 활용하는 등 무한한 발전 가능성이 있다.

AI도 마찬가지로, 계속 새로운 알고리즘이 쏟아져 나오고 있고 활용 방안도 증가하는 등 계속된 발전을 이루고 있고, 현재 정부의 정책에 힘입어 대학에 새로운 학과가 생겨나고 있고, 혼자서 공부할 수 있는 책도 많이 나오고 있어 충분히 도전해볼 수 있는 분야이다. 또한 오픈 소스가 많이 나와있어 일반 개발보다 인건비 등 비용도 거의 들지 않는 것도 장점이고, 수많은 분야와 융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세부적으로 파고 들어간다면 성공 확률도 높아진다. 이유는 당연히 세부적으로 파고 들어가면 경쟁자도 줄어들고, 그 분야에만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다시 IoT로 돌아가서, 이런 식으로 컨셉과 수익모델을 먼저 잡고 난 후 거기에 맞춰 앱은 부차적으로 개발해 나가는 것이 더 현실성이 있지, 앱만 달랑 개발해서 설치하고 뭘 하게 만든다는 식으론 답이 없다.

지식재산권에 대해

특허나 디자인으로 공개 출원 하였다고 해서 독점권이 부여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참고한 유사 특허로 등록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을 활용하거나 관련 기술을 비공개하여 영업비밀로 보호하는 쪽이 유리한 분야가 훨씬 많다. 그리고, 특허나 디자인은 여러 경로로 회피하는 방법이 아주 많이 있다.

이미 시장에 제품이 출시되어 있거나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가 있다고 해도 차별화 전략, 가격, 캐칭업 전략을 펼치면 된다. 기존의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한 파괴적 혁신 전략이 아주 유효하다. 스트트업인 후발주자로서 기존 시장을 깨는 전략이나 캐칭업전략을 펼치는 것이 주요하다.

엑싯(EXIT)

일반적으로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는 것을 지칭한다.

유니콘이란?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을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카길과 코크 인더스트리 등 유서가 깊은 비상장기업은 집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스타트업이 상장 전에 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하는 것은 상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유니콘과 같이 희귀하다는 의미로 2013년 벤처 투자자 에일린 리가 처음 사용했다. 기업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은 데카콘(decacorn)이라 부르며, 기업가치가 1천억 달러 이상인 스타트업은 헥토콘(hectorcorn)이라 부른다.

기업가치

스타트업의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식적인 문서에 쓰이는 기업 가치는 투자자로부터 실제로 투자를 유치했을 때 인정받은 가치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한두 푼도 아니고, 수십~수천억 원을 투자하는 데 투자자들이 누구보다 치밀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기업 가치 평가는 시장의 잠재 규모와 시장 점유율, 매출 증가율, 기술 혁신성으로 인한 높은 부가가치, 경영진의 비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행된다.

만성 적자 상태인데다 매출도 기업 가치의 10% 수준도 안되는 스타트업들이 상당수이다. 기업 가치는 매출과 수익만으로 정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매출과 수익이 안정적으로 발생하는 기업이라면 창업자 지분을 희석시키면서까지 외부 투자를 받으며 자본을 조달할 이유가 덜할 것이다.

2010년대 초반 스마트폰의 대중화 덕분에 유니콘 기업들이 급증하며 본 의미가 퇴색되었으, 2022년 각국 중앙은행에서 과한 유동성으로 인해 발생한 고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대폭 인상하자 경기 둔화가 찾아오고 벤처캐피탈 자금이 묶이면서 기업가치가 대체로 크게 하락했다. 대표적으로 헥토콘 기업이었던 3위 쉬인과 4위 스트라이프는 각각 34%, 42% 하락한 금액에 신규 자금을 조달 받았다. 이는 모바일 시대가 도래한 이후 10여년만에 맞은 첫 번째 위기였으며 2023년 상반기까지 지속되었다.

유니콘 기업의 국가별 현황

순위
국가
수
최고가치기업

1

미국

629

2

중국

173

3

영국

132

4

인도

65

5

독일

40

Celonis ($110억)

6

프랑스

32

Doctolib ($64억)

7

이스라엘

28

Wiz ($60억)

8

캐나다

26

Dapper Labs ($76억)

9

브라질

21

QuintoAndar ($51억)

10

대한민국

15

11

싱가포르

13

HyalRoute ($35억)

12

스웨덴

8

호주

13

홍콩

7

Lalamove ($100억)

멕시코

Kavak ($87억)

네덜란드

Mollie ($65억)

14

인도네시아

6

J&T Express ($200억)

스위스

SonarSource ($47억)

아일랜드

BrowserStack ($40억)

일본

Preferred Networks ($20억)

15

노르웨이

5

Cognite ($15억)

16

핀란드

4

RELEX ($57억)

스페인

Jobandtalent ($23.5억)

17

튀르키예

3

Getir ($118억)

벨기에

Collibra ($52.5억)

콜롬비아

Rappi ($52.5억)

아랍에미리트

Vista Global ($25억)

18

에스토니아

2

Bolt ($84억)

덴마크

Pleo ($47억)

리투아니아

Vinted ($45.3억)

오스트리아

BitPanda ($41.1억)

베트남

Sky Mavis ($30억)

필리핀

Mynt ($20억)

크로아티아

Rimac Automobili ($20억)

남아공

Promasidor Holdings ($15.9억)

칠레

NotCo ($15억)

태국

Ascend Money ($15억)

19

바하마

1

세이셸

아르헨티나

Uala ($24.5억)

룩셈부르크

OCSiAl ($20억)

나이지리아

Opay ($20억)

말레이시아

Carsome ($17억)

세네갈

Wave ($17억)

버뮤다

Afiniti ($16억)

에콰도르

Kushki ($15억)

체코

Rohlik ($12억)

이탈리아

Scalapay ($10억)

합계

48개국

1,170

$3조 8,200억

대한민국 유니콘 기업

2022년 2월,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국내 유니콘기업은 총 18개다. 추가적으로 과거 유니콘 기업이었으나 상장 등의 이유로 현재는 유니콘 기업에서 제외된 9개의 기업도 같이 발표하여, 중소벤처기업부 공식 인증 역대 국내 유니콘 기업은 27개사로 확인되었다. 이 중 CB Insights에서 인정하는 유니콘 기업은 14개사로, 비바리퍼블리카($74억)·옐로모바일($40억)·컬리($33억)·위메프($23.4억)·무신사($22억)·직방($15.5억)·버킷플레이스($14.0억)·리디($13.3억)·지피클럽($13.2억)·엘앤피코스메틱($11.9억)·쏘카($10.7억)·에이프로젠($10.4억)·두나무·야놀자(이상 $10억)가 해당한다. 비공개 A사, 투자사에서 구체적으로 기업가치를 밝히지 않은 빗썸코리아·티몬에 더하여 당근마켓까지 총 4개사가 제외되었다. 데이터플랫폼 기업인 아이지에이웍스는 중기부 유니콘 명단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CB Insights 명단에는 포함되었다. 아이지에이웍스를 포함한 CB Insights 국내 유니콘 기업은 총 15개다.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은 2023년 현재 중기부 유니콘 명단이나 CB Insights를 통한 리스트에 등재되어있지는 않으나, 기업가치 1조원으로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유니콘 기업으로 올라섰다. 최근엔 스타트업 기업 DB가 집대성된 혁신의 숲에 유니콘 기업으로 등재됐다.

중소벤처기업부 발표 2022 국내 유니콘 기업

기업명

대표 브랜드

최근 기업가치

CB Insights

등재 시기

2021년 매출액

7.2조 원

$10억

2021.07.

3조 7,046억 원

여기어때컴퍼니

1.2조 원

$10억

2022.10.

2,049억 원

야놀자

6.8조 원

$10억

2019.06.

3,748억 원

비바리퍼블리카

$74억(8.2조 원)

$74억

2018.12.

7,808억 원

옐로모바일

$40억(4.8조 원)

$40억

2014.11.

컬리

1.9조 원

$33억

2021.07.

1조 5,614억 원

위메프

$26.5억(3.18조 원)

$23.4억

2015.09.

2,448억 원

당근마켓

$24.7억(3조 원)

-

2021.08.

257억 원

빗썸코리아

0.8조

-

2022.02.

1조 99억 원

$18.9억(2.27조 원)

$22억

2019.11.

4,667억 원

티몬

-

2016.04.

1,291억 원

L&P코스메틱

메디힐

$14.8억(1.78조 원)

$11.9억

2016.01.

2,642억 원

버킷플레이스

$14.0억(1.8조 원)

$14.0억

2022.05.

1,176억 원

GP클럽

JM 솔루션

$13.2억(1.58조 원)

$13.2억

2018.10.

5,355억 원

리디

$12.3억(1.6조 원)

$13.3억

2022.01.

2,038억 원

GS071

$10.4억(1.25조 원)

$10.4억

2019.05.

263억 원

직방

$9.0억(1.1조 원)

$15.5억

2021.06.

559억 원

주요 엑싯(EXIT) 기업

기업명
대표 브랜드
최근 기업가치
등재 시기
제외 시기
2021년 매출액

쿠팡

$304억(40.9조 원)

2014.05.

20조 8,813억 원

$92.3억(12.4조 원)

2017.10.

1조 8,863억 원

$56.7억(7.6조 원)

2019.06.

1조 2,559억 원

$41.9억(5.6조 원)

2011.11.17.

2조 5,069억 원

$27.3억(3.7조 원)

2015.12.

4,038억 원

$31.4억(4.2조 원)

2018.05.

1조 125억 원

$40억(4.75조 원)

2014.12.

2020.12.28.

2조 88억 원

쏘카

$6.4억(8,607억 원)

2020.10.

2,890억 원

더블유카지노

$5.5억(7,387억 원)

2015.06.

6,241억 원

잇츠한불

$2.5억(3,421억 원)

2015.10.

1,402억 원

문의 : hwang79xx@msn.com

($1,270억)

($1,400억)

($400억)

($220억)

($74억)

($456억)

($400억)

($320억)

($100억)

,

,

, 쿠차

2,508억 원

무신사

불명

,

이 중 CB Insights에서 인정했던 유니콘 기업은 우아한형제들·CJ게임즈·쿠팡·크래프톤·쏘카이다. 넷마블과 카카오게임즈는 대기업에서 분사한 기업이기 때문에 유니콘 기업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시각이 존재한다. 실제로 그동안 국내 언론 등에서는 국내 1호 유니콘 기업을 쿠팡으로, 2호를 옐로모바일로 칭해왔으나, 중기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넷마블(舊 CJ게임즈)이 1호 유니콘 기업이 되어야 한다. 다만, 이는 CB Insights의 자료를 참고로 하여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2021.03.11.

,

2021.08.10.

2020.10.15.

,

2017.05.12.

2017.09.14.

2020.09.10.

2022.08.22.

2015.11.04.

2015.12.28.

출처 :

AI Support Tools 정보 공유
1. Startup 창업지원센터 정보 공유
2. Startup 지원 사이트정보 공유
3. University Startup 창업지원단 정보 공유
4. Startup Funds 정보 공유
5. Venture Capital 정보 공유
6. CrowdFunding Platfome 정보 공유
7. Startup News 공유
8. Startup 관련 서적 프리뷰
9. Startup Document Data File 공유
[30]
https://namu.wiki/w/%EC%9C%A0%EB%8B%88%EC%BD%98%20%EA%B8%B0%EC%97%85
SpaceX
Bytedance
Checkout.com
Byju’s
Toss
Klarna
Canva
FTX
KuCoin
두나무
업비트
증권플러스
여기어때
야놀자
토스
타다
피키캐스트
[8]
마켓컬리
위메프
당근
빗썸
[9]
무신사
티몬
[10]
오늘의집
리디
만타(Manta)
에이프로젠
직방
쿠팡
[뉴욕거래소]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비트윈
[유가증권시장]
하이브
위버스
[유가증권시장]
넷마블
모두의마블
세븐나이츠
[유가증권시장]
펄어비스
검은사막
[코스닥]
카카오게임즈
오딘: 발할라 라이징
[코스닥]
우아한형제들
배달의민족
쏘카
[유가증권시장]
더블유게임즈
[코스닥]
잇츠스킨
[유가증권시장]
NHN Cloud 정보 사이트
취약점 분석 평가 사이트
[NHN Cloud] 2022년 NHN Cloud 교육 정보 공유NHN Cloud
Unix 시스템 취약점 진단 분석 평가 방법System Security Vulnerability
Logo
Logo